레위기 강해

레위기 1장 요약

오비도제일장로교회 2020. 5. 5. 11:02

레위기 1장 요약

 

모세오경과 레위기의 관계성 요약

 

창세기: 이스라엘 백성의 선택됨(죄인을 선택하시는 하나님을 보여줌)

출애굽기: 이스라엘 백성의 구원(죄인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을 보여줌)

레위기: 이스라엘 백성의 성화(구원받은 자의 성화를 보여줌)

민수기: 이스라엘 백성의 연단(구원받은 자의 연단을 보여줌)

신명기: 이스라엘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경고(구원받은 자들의 말씀 묵상을 의미)

 

, 레위기를 통해 우리가 깨달아야 하는 것은 바로 구원받은 자가 하나님께 나아가는 방법과 하나님께 나아간 자들이 하나님과 동행하는 방법을 깨닫게 한다. 또한 레위기를 통해서 우리는 죄를 짓었기 때문에 저주받는 것이 아니라, 죄인이기에 하나님께 희생제물(예수 그리스도)을 가지고 나아가야 함을 말해 준다. 용서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보게 되는 것이다.

 

레위기 1(번제)

 

1. 하나님께 나아가는 방법: 첫번째- 번제(일반제라고 하기도 하며 혹은 화제제라 함: 9, 13, 17)

   - 일반적으로 하나님께 예배하러 나가는 방법

   - 짐승희생제사인 이유

      → 하나님 앞에 나아가는 우리는 모습이 죄인된 모습임을 깨닫게 하기 위해

      → 죄인을 받아 주시기 위해서는 반드시 희생제물(예수 그리스도)이 필요함을 깨닫게 하기 위해

 

2. 번제 예물의 종류

   - (3): 흠없는 수컷

   - 양이나 염소(10): 흠없는 수컷

   - (14): 산비둘기나, 집비둘기의 새끼

 

3. 번제 혹은 화제의 의미: 우리의 죄를 다 태운다는 것.

   - 오늘 날 예배를 통해 우리의 죄가 다 사하여 진다는 의미

   - 따라서 우리가 드리는 예배란 성령의 불로 우리를 태워야 하는 것이다.

   - 참된 예배란 우리를 성령으로 태울 때, 여호와께서 기쁘게 받으시는 예배가 된다.

 

레위기 2장 강해(소제)

 

소제의 특징

 

1. 일명 "피 없는 제사"라고도 하고, "부속된 제사"라고도 한다. 그 이유는 소제에는 짐승을 잡지 않으며, 또 짐승의 피를 뿌리지 않을 뿐 아니라. 소제는 다른 피의 제사를 드린 후에 드리는 제사이기 때문이다.

 

2. 민수기 15장 이하의 말씀을 통해서 소제가 "부속된 제사"임을 알 수 있다.

 

3. 소제의 종류

 

  . 고운 가루이다(1).

     성경에 어떤 가루라고 그 종류를 고정하여 명시하지 않은 것을 보아 다양한 곡물의 가루로 소제의 제사를 드리는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이한 것은 소제의 제물로 쓰이는 가루에 배합되는 두 가지 재료가 있다. 즉 기름과 유향이다(2).

 

  . 무교병이다(4-7): 화덕에 구운 것, 철판에 붙인 것, 냄비에 요리한 것 등 3가지가 있다.

      이 떡은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 반죽해서 화독 위에 놓아 번철에 부친 것이다. 그것을 조각으로 내어 여호와께 드린다

      그 반죽한 것을 솥에 쪄서 드리는 법도 있었다. 단 이상의 것들에 누룩을 넣어서는 안 되었다.

 

  . 처음 익은 곡식이다(12).

 

  . 첫 이삭이다(14-16).

     이것은 볶아 찧은 것으로 기름과 유향을 부어 드렸다. 그러므로 이상 네가지를 하나님께 좋은 제물로 바쳤고, 하나님께 향기로운 것이었다.

 

결론

1. 소제는 사람들의 일상의 삶을 의미한다. 주기도문에 기록된 데로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라는 구절에서 인간에게 일용할 양식이 얼마나 귀한 것인지를 알게 된다. 이 소제는 바로 일상에서의 예배를 의미한다.

2. 그리고 그 일상에서의 삶(삶의 예배속에)에서 역시 중요한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다. 왜냐하면 소제의 재물에다 기름과 유향을 썩어 드렸다는 것을 통해 우리는 소제의 제사 역시 예수 그리스도를 예표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레위기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위기 14:1-9(정결하여라)  (0) 2020.05.06
레위기 3장 요약  (0) 2020.05.05
레위기 서론 요약  (0) 2020.05.05